구매 : 노트20울트라 사전예약 보상

제품 : 갤럭시 워치3 45mm Bluetooth

가격 : \331,100 (30% 할인)

외관 박스

구성품

갤럭시워치 본체

워치 무선충전 케이블 (충전기 미포함)

사용설명서

실버색상으로 구매했습니다

역시 워치는 베젤링이 있어야지

키고 세팅하고 업데이트

운동트래킹과 수면트래킹기능을 유용하게 사용중입니다

솔직히 어지간한 시계 살 돈이면 스마트워치 구입하는게 더 좋지않나 싶습니다

노트20 쿠폰으로 사서 고민안하고 지를수 있었음

 

원문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63757&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최근 이런 기사 하나가 여러 커뮤니티로 퍼져나갔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3D프린터와 육종암이 관계가 있을 확률은 거의 없습니다

1. 육종암은 환경요인을 받지 않음

서울삼성병원의 특수 암 센터 서성욱 교수가 쓰신 칼럼입니다

http://www.samsunghospital.com/m/info/news_view.do?seq=7107

이 칼럼에 적힌 내용 중에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육종암은 외부와의 접촉이 불가능한 부위에서 발생하므로 환경적 요인이 이 암의 발생에 관여하지는 않는다. 연구자들은 육종암 발병은 유전적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고, 몇몇 유전 질환에서 육종암이 흔히 발생되는 것도 밝혀졌다. 그러나 육종암 환자의 형제나 자녀들에게서 발생 빈도가 증가하지는 않는다. 이처럼 아직 대부분의 육종암은 불행히도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다.

육종암은 유전적 요인이 강하다고 '추측'단계이며 정확한 요인은 아직 모릅니다

2. 육종암과 관련된 물질은 3D프린터엔 없다

기사에선 3D프린터를 "학교"에서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그중 가장 많이 쓰는 재질은

PLA, ABS입니다

PLA 같은 경우는 스티렌이라는 발암물질이 있지만

1% 내외로 포함되어 발암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ABS는 발암성 물질이 60~70%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직접 마셨을 경우 상당히 유해합니다

하지만 육종암과는 전혀 관련 없습니다

필라멘트에는 방사능과 중금속 소재가 없습니다

3D프린터용 필라멘트는 대부분 ROHS의 규제를 따릅니다

카드뮴이나 납 같은 중금속은 규제되고 있습니다

호흡기와 관련된 폐암 같은 것과는 연관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것보다 "흡연"이 육종암 발생 확률이 몇십 배는 높습니다

하지만 ABS나 레진 같은 경우에는 발암물질은 맞습니다

3. 그래서 3D프린터는 안전한가?

안전합니다

안전 수칙을 지키며 사용할 경우 3D프린터는 안전합니다

PLA도 발암물질이나 독성은 거의 없지만

열을 가하고 식히는 과정에서 미세먼지가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환기는 필수이고 가급적 3D프린터는 생활공간과 겹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해당 기사는 그냥 기레기가 어그로 끌려고 쓴 기사 수준입니다

암걸리기 싫으면 담배나 끊으십쇼

 

명동에서 오래된 분식집 이라고함

본인은 맛집이라고 유명한 곳 찾아다니는 걸 별로 안 좋아함

끌려갔음

메뉴의 가격은 일반 분식집과 비슷함

명화당 김밥

밥에 식촌간을 좀 많이함

그냥 김밥 맛임

얘가 제일 가성비 구린거같음

쫄면은 새콤달콤보다는 고소함에 치중함

쫄면 맛임

돈가스

보기만 해도 생각나는 바로 '그 맛'임

고기만두

당신이 알고 있는 '그 맛'

오랫동안 장사하고 있는 이유를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특출나지 않고 간도 삼삼함

맛이 뛰어난 맛집이 아니라 질리지 않는 가게라고 생각한다

마찬가지로 근처에 있으면 가겠지만 찾아갈만한 가게는 아니다

 

+ Recent posts